이번 준플레이오프는 '기막힌 시리즈'다. 팀 홈런 1위인 넥센은 4차전까지 고작 홈런 2방을 쳤다. 구장 특성상 홈런이 많이 나오는 목동에서 고작 1개 쳤다. 반면 팀 홈런 4위 두산은 3개를 쳤는데 모두 잠실에서 나왔다. 좌우 100m, 중견 125m로 가장 넓은 잠실구장이지만, 두산은 드넓은 안방에서 홈런을 몰아쳐 2연패 뒤 2연승을 달렸다.
안방에서만 승리하는 극심한 홈 선호 현상, 여기에 홈런 양상은 정반대다. 상식 밖의 시리즈, 양팀 감독은 괴로울 수밖에 없다.
넥센은 '빅볼'과 '스몰볼'이 적절히 조화된 팀으로 평가받는다. 이택근 박병호 김민성 강정호로 이어지는 타선은 언제 어디서든 한 방을 터뜨릴 수 있다. 다른 팀에 비해 강력한 중심타선은 넥센의 강점이다. 게다가 목동을 홈으로 쓰면서 이들의 장타력은 배 이상의 가치를 갖게 됐다.
 |
8일 목동구장에서 2013프로야구 준PO 1차전 넥센과 두산의 경기가 열렸다. 2회 두산 김재호가 1사 1,3루에서 스퀴즈번트를 시도했다. 하지만 타구가 짧아 3루주자 정수빈이 태그 아웃을 당했다. 타구를 원망스럽게 바라보고 있는 김재호.목동=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3.10.8 |
여기에 염경엽 감독의 스몰볼이 더해진다. 화끈한 장타력이 터지지 않을 때, 혹은 반드시 1점이 필요할 때 점수를 짜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선수들은 공수 모두에서 치밀한 작전대로 움직이는 데 익숙해져 있다.
이런 넥센의 팀컬러는 단기전에서 빛을 발할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영 아니다. 3,4차전에서 넥센 타자들은 출루 자체에 인색했다. 누상에서 활발히 움직였지만, 새롭게 주전포수로 떠오른 두산 최재훈의 강하고 정확한 송구에 잇달아 발목을 잡혔다. 도루자가 무려 4개(3차전 3개, 4차전 1개). 가뜩이나 출루가 적은데 뛰는 야구마저 안 되니, 되는 게 하나도 없었다.
4차전에선 1회부터 안타와 도루, 희생번트의 득점공식대로 선취점이 났다. 하지만 이후 선수들은 또다시 얼어붙었다. 6회엔 선두타자 문우람이 안타로 출루한 뒤, 중심타선에 맡겨 놓았지만 아무도 안타를 쳐내지 못했다.
선수들이 심리적 압박에 시달리면, 작전수행능력도 현저히 떨어진다. 믿고 맡기는 것과 빈번한 작전 지시 모두 효과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
두산 베어스와 넥센 히어로즈의 2013 프로야구 준 플레이오프 3차전 경기가 11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렸다. 넥센 10회초 2사 1루 허도환 타석때 1루주자 유재신이 2루 도루중 아웃되고 있다.잠실=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3.10.11/ |
염경엽 감독은 현재 넥센의 작전야구에 대해 "작전이 많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내가 가진 야구는 선수들에게 믿고 맡기는 야구다. 하지만 어떤 상황이 왔을 때, 최선의 선택을 하는 이가 감독"이라며 "방망이가 좀더 잘 맞았으면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페이스가 떨어졌다. 최악의 선택을 막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로선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인다. 선수들이 스스로 얼마나 긴장감을 풀고 경기에 임하느냐가 중요하다. 염 감독은 "방망이가 맞아서 이기면 얼마나 편하겠나. 박수만 쳐주면 된다. 하지만 안 되면 어떻게든 짜내야 한다. 그게 감독이 할 일"이라며 입맛을 다셨다.
두산 역시 비슷하다. 두산 김진욱 감독 역시 준플레이오프 들어 잦은 작전을 지시하고 있다. 그는 "주위에서 다득점을 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이는 결과론이다. 점수를 낼 수 있을 때 1점씩 쌓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두산은 3차전에서 3점차 리드 상황에서 한 차례 희생번트 타이밍을 놓친 뒤 동점의 빌미를 제공했다. 이후 9회부터 연장까지 총 3개의 희생번트가 나왔다. 선두타자가 출루한 뒤 희생번트로 진루시키는 패턴. 하지만 세 차례 모두 후속타 불발로 득점에 실패했고, 결국 강공을 지시한 14회 연속안타로 끝내기 승리를 거뒀다. 4차전에서도 초반 동점을 위해 선두타자 출루 후 희생번트를 지시했지만 실패, 최재훈의 홈런으로 승부를 뒤집었다.
두산 역시 스몰볼에 대한 압박을 느끼는 것일 수 있다. 벤치의 움직임으로 자신에게 찬스가 왔을 때, 타자는 '내가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압박감을 갖게 된다. 그 결과 출루와 희생번트 진루, 이후 계속된 범타라는 악순환이 이어진 것이다. 오히려 벤치의 작전이 없을 때 선수들은 편하게 점수를 만들어냈다.
야구에 정답은 없다. 결과가 모든 걸 말해준다. 과정은 어찌 됐든, 패배하면 모든 게 물거품이 된다. 이번 준플레이오프는 스몰볼의 맹점에 발목을 잡혀버린 '이상한 시리즈'인 것만은 분명하다.
이명노 기자 nirvan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