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의장에 항의하는 野 원내대표… 28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표결 처리된 후 민주당 전병헌(왼쪽) 원내대표가 강창희 국회의장에게 항의하고 있다. /전기병 기자 |
[與 감사원장 임명동의 단독처리… 연말까지 냉전 예고]
野 격앙, 의총서 지도부 성토… 김한길 결국 "의사일정 중단"
예산심의 계속 거부땐 野부담, 親朴·親盧 서로 "민심 우리편"
새누리당이 28일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 동의안을 야당 반대 속에 처리했다. 민주당은 이에 반발해 국회 의사일정 전면 거부를 선언했다. 안 그래도 닫혀 있던 정국에 덧문까지 씌워진 셈이다. 여야 관계자들은 "각종 법안과 예산안,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 특별검사제 등 각종 현안을 일괄 타결하지 않는 한 정국을 풀기가 쉽지 않다"고 하고 있다. 오히려 양당 최대 계파에선 "갈 데까지 한번 가보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연말까지 냉전 예상
이날 본회의에서 강창희 국회의장은 당초 안건 처리 순서상 여섯째였던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임명 동의안을 첫째 안건으로 앞당겨 상정했다. 그러자 전병헌 원내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의원 127명은 무제한 토론 요구서를 냈다. 그러나 강 의장은 이를 거부했고 결국 표결로 동의안이 통과됐다. 민주당 의원들은 격앙됐다. "불법 날치기다. 의장 자격이 없다"며 "당신이 친박(親朴)이면 다냐"고 소리쳤다. 곧이어 열린 의원총회에서 강경파들을 중심으로 불만이 폭발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도부에선 당초 강창희 의장의 직권상정과 새누리당의 강행 처리를 규탄하는 정도로만 끝낼 생각이었지, 의사일정 중단까지는 아니었다"며 "그러나 의총에서 의원들로부터 '국회의장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등을 포함한 모든 방안 강구' 등의 주장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의사일정 거부 쪽으로 흘렀다"고 말했다. 의총에선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 등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도 터져나왔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김 대표가 마지막에 "결과적으로 가장 큰 잘못과 책임은 당 대표에게 있다"며 "내일부터 국회 의사일정을 중단하겠다"고 결정했다고 한다.
◇예산안 등 야당도 부담 있어
민주당의 의사일정 중단으로 국회는 다시 문을 닫게 됐다. 새누리당도 "일단은 여당 단독으로 상임위를 진행할 생각은 없다"며 "야당의 참여를 최대한 기다리겠다"고 말했다(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 결국 예산안과 법안을 심의해야 할 상임위와 예결특위 활동이 모두 중단되는 것이다.
국회 중단이 얼마나 이어질지에 대해선 양당 내부에서도 전망이 엇갈린다. 최경환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날 "예산·법안 심의를 계속 거부하면 여론 반발이 클 것이기 때문에 민주당이 머지않아 복귀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도 "우리도 끝까지 예산안 심의를 거부하거나 국회 운영을 마비시킬 생각은 없다"고 했다.
그러나 양당에서 다수를 점하고 있는 새누리당 친박(親朴)계와 민주당 친노(親盧)계 내부에선 서로 "민심은 우리 편"이라며 "예산안이 연내에 통과되지 못하더라도 끝까지 가보자"는 말을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지금 우리(민주당)의 관심은 대선 개입 특검제 도입"이라며 "특검 수용 없이는 어떤 법안이나 예산안 처리도 협조하기 어렵다"고 했다. '국회선진화법'을 지렛대로 여당을 압박하며 여론전을 펴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도 이날 "예산이 통과되지 않아 나라 살림이 멈추고 야당이 집권 1년차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발목 잡는다면 여론이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며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부당한 특검 요구를 받아주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기 기자]
[최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