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월세시대 서민만죽어...

일산고양작명철학 2013. 12. 4. 08:48

사상 유례가 없는 전세난 속에 월세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1년 전만 해도 아파트 임대에서 월세 비중은 25% 정도였지만 올해는 34%까지 급증했습니다.

전체 주택으로 보자면 10가구 중에 4가구가 월세인데요. 곧 전세를 추월할 걸로 보입니다. 이른바 월세 시대 맞이한 우리의 현실과 앞으로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허지은, 정동욱 기자가 차례로 전해 드리겠습니다.

◀VCR▶

1억8천만원에 전세 살던 최모씨는 최근 보증금 1억원에 매달 50만원씩 내는 월셋집으로 이사했습니다.

전셋값 인상 요구에 다른 곳을 알아봤지만 결국 구하지 못했습니다.

◀INT▶ 최씨
"아깝죠, 월세.. 사실 여기 이사 오기 전에는 저는 월세사는 사람들을 이해를 못했거든요"

양모씨도 같은 처지로, 월세만 150만원.

전세 살 때 매달 42만원씩 붓던 적금과 보험은 모두 해약했습니다.

◀INT▶ 양씨
"전세 자체가 아예 없었고, 월세가 딱 하나 남아 있어서.."

만약 양씨가 계속 전세를 살았다면 10년 뒤 5천40만원을 모았을테지만, 지금처럼 월세를 산다면 10년 뒤엔 1억8천만원이 사라지는 셈입니다.

우리나라에만 있다는 주거제도 전세. 전세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전세는 서민들의 안전판이자 자본축적 수단이 돼 주었지만, 이제 그런 역할도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서울 구로동의 빌라촌과, 잠실, 마포의 아파트촌.

전세계약이 끝난 집주인들의 30% 이상이 월세로 바꿔 내놓고 있습니다.

◀INT▶ 전해룡/마포 공인중개사
"아파트 임대 물건 나온 것 중에서 월세로 나온 게 60%, 전세로 나온 게 한 40% 정도로..."

MBC와 부동산써브가 전국의 중개업자 2백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거래한 임대주택 중 월세의 비중은 48%였습니다.

그러나, 월세 세입자 가운데 자발적으로 월세를 택한 사람은 38%.

열에 여섯은 전세를 원하는데도 월세를 살게 됐다는 얘기입니다.

◀INT▶ 정태희/부동산써브 팀장
"금리가 낮아서 은행대출을 갚을 수 있는 집주인은 월세로 돌리고, 그게 안 되는 집주인은 전세상승분만큼이라도 월세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수입의 4분의 1에서 3분의 1을 월 임대료로 내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INT▶ 박원갑/KB 부동산전문위원
"자연스럽게 월세로 넘어가는게 아니라, 전세난에 떠밀려서..우리나라는 특히 가계지출에서 사교육 비중이 높기 때문에 월세까지 낸다면 사실상 미래를 저축할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린다는..."

우리나라의 월세는 전세보다 훨씬 비쌉니다.

전세를 기준으로 계산한 월세의 이자율은 서울 평균 9.6%.

예를 들어, 1억 원짜리 전세를 살 경우, 월 은행이자에 해당하는 25만원의 임대료를 내는 셈이 되지만, 월세는 그 세배가 넘는 80만원을 내는 겁니다.

월세가 가장 버거운 건 저소득층.

월세는 변두리로 갈수록, 그리고 아파트보다는 빌라나 다세대일수록 훨씬 비싸집니다.

10억 원에 육박하는 잠실 이 아파트의 월세 이자율은 5%도 안 되지만, 신당동의 다세대주택은 9%.

방학동의 이 빌라는 10%가 넘습니다.

이 바람에 월세 세입자 중 고소득층은 소득의 14%만을 월세로 지출하는 반면, 저소득층은 그 두배인 27%를 내고 있습니다.

◀INT▶ 임바울/공인중개사
"이동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여력이 적기 때문에 주인이 올려달라고 하면 올려줄 수밖에 없는.."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월세 소득공제와 월세 대출 정도.

하지만 소득공제는 집주인들의 반대로, 월세 대출은 대부분 신용대출인데다 금리마저 높아,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월세는 신고 않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전문가들은 대증적인 월세 대책보다는,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INT▶ 김규정/우리투자증권 부동산팀장
"단편적이고 즉각적인 제도가 난립하면서 어떤 통계를 근거로 어떤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지 자체가 방향성이 잡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월세살이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민간의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대책 마련도 시급합니다.

MBC뉴스 정동욱입니다.(정동욱 기자)